국내 경제

삼성전자 MIT, 스탠퍼드대와 미래기술 동맹!

Protrend 2025. 4. 23. 15:32
반응형
BIG

삼성전자가 2025년 시작한 START 프로젝트는 차세대 기술 확보와 글로벌 기술 리더십 강화를 위한 전략적 산학협력 프로그램입니다. 특히 북미 지역의 명문 공과대학들과 협력하여 5대 신사업 분야에서 혁신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


START 프로젝트 개요

START(Samsung Technology Advanced Research Team) 프로젝트는 삼성리서치아메리카(SRA)가 주도하는 산학협력 프로그램으로, 초기 단계의 혁신 기술을 발굴하고 공동 연구를 통해 미래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삼성의 디바이스 경험(DX) 부문 전반에 걸쳐 제품, 서비스,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5대 신사업 분야 및 북미 명문 공대와 협력

1. 로보틱스 (Robotics)

삼성전자는 로봇 기술 개발을 위해 MIT(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스탠퍼드대학교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들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감정 인식 및 상호작용이 가능한 차세대 로봇 기술을 공동 개발하고 있습니다.

2. 디지털 헬스케어 (Digital Healthcare)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하버드대학교UC 버클리와 협력하여 웨어러블 기기를 활용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 및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을 통해 삼성은 사용자 중심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3. 6G 통신 (6th Generation Communication)

차세대 통신 기술인 6G 개발을 위해 프린스턴대학교조지아공과대학교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들 대학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테라헤르츠 대역 통신,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 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미래의 통신 인프라 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차세대 반도체 (Next-Generation Semiconductors)

반도체 분야에서는 텍사스대학교 오스틴 캠퍼스(UT Austin), 텍사스 A&M 대학교, 일리노이대학교 어배너-섐페인(UIUC) 등과 협력하여 차세대 메모리 기술, 컴퓨팅 아키텍처, 반도체 공정 기술 등을 공동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UT Austin과는 370만 달러 규모의 교육 및 인력 개발 파트너십을 체결하여 반도체 분야의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5. AI 기반 차세대 디바이스 (AI-Powered Next-Generation Devices)

AI 기술을 활용한 차세대 디바이스 개발을 위해 카네기멜론대학교토론토대학교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이들 대학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인공지능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에너지 효율적인 AI 칩 설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TART 프로젝트의 운영 방식

START 프로젝트는 연간 공모를 통해 북미 지역의 대학 연구자들과 협력하며, 선정된 프로젝트에는 최대 15만 달러의 연구비가 지원됩니다. 프로젝트 기간은 1년이며, 성과에 따라 연장이 가능합니다. 또한, 삼성은 연구 결과를 제품화하기 위한 기술 이전 및 상용화 지원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결론

삼성전자의 START 프로젝트는 북미 지역의 명문 공과대학들과의 협력을 통해 5대 신사업 분야에서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학협력은 삼성의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미래 산업을 선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학 기술자들에게는 이러한 협력 모델이 기술 개발과 상용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글로벌 기술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